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 서울 24℃

  • 인천 24℃

  • 백령 17℃

  • 춘천 25℃

  • 강릉 24℃

  • 청주 26℃

  • 수원 24℃

  • 안동 25℃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7℃

  • 전주 25℃

  • 광주 23℃

  • 목포 19℃

  • 여수 20℃

  • 대구 25℃

  • 울산 20℃

  • 창원 23℃

  • 부산 20℃

  • 제주 20℃

금융 은행 점포 축소 내년에도 칼바람

금융 은행

은행 점포 축소 내년에도 칼바람

등록 2021.11.03 08:52

임정혁

  기자

내년 초부터 KB·신한 오프라인 점포 줄줄이 축소금융 노조 “격오지·고연령층 위주 금융 취약 우려”영국·일본 도입한 ‘공동점포’ 대안···은행권 TF 구성“각 은행 이해관계 앞서 사회적 의무 먼저 고려할 것”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시중은행의 오프라인 점포 축소가 내년 초부터 거세질 전망이다. 단순 업무에서 대면과 비대면의 경계가 허물어져 생존을 위한 은행들의 선택과 집중 속도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감지된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시중은행 점포 수는 2828곳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88곳이 추가로 줄었다. 최근 5년간 점포 수를 따져보면 1000여곳이 줄어들면서 이런 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나타났다.

당장 내년 초부터 점포 축소가 줄줄이 예고됐다. 신한은행은 내년 1월 17일 35개 지점을 축소하고 일주일 뒤인 24일엔 7개 지점을 기존 점포와 합치기로 했다.

같은 날인 24일부로 KB국민은행도 35개점을 폐쇄할 예정이다. 하나은행도 1월 중으로 지점 2곳을 문을 닫는다. 우리은행은 점포 24곳을 올해 말까지만 영업하고 기존 영업점과 합치기로 한 상태인데 내년 점포 축소도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진다.

비대면 거래 확대로 금융 소비자와 은행 모두 더는 오프라인 점포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어 나오는 변화로 풀이된다. 이미 모바일뱅킹을 활용한 이체가 보편화 돼 간단한 예적금과 대출 업무도 비대면 거래가 일상으로 자리잡았다. 하나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용대출과 펀드 등의 비대면 판매 비중은 90%를 넘어섰다.

은행들의 오프라인 점포 축소로 희망퇴직이 늘면서 금융 노조의 반발 목소리도 거세지만 뚜렷한 해법은 나오지 않고 있다. 대다수 은행 관계자들은 “인터넷 은행 등장으로 디지털 금융 전환이 밖에서 보는 것 이상으로 빠르다”며 “국내 상황을 고려하면 점포 감소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다만 노년층 등 온라인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최소한의 점포 운영은 유지해야 한다는 반론에는 아직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금융 노조 관계자는 “점포 폐쇄 지역이 주로 지방과 노년층이 거주하는 격지 위주로 나타나고 있다”며 “비대면 거래 증가를 이유로 디지털 문화에 익숙하지 못한 노년층 거주지 중심으로 영업점을 폐쇄하는 것은 은행이 금융 소외 계층에 대한 고려 없이 오직 수익에만 혈안이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은행 입장에서도 ‘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최소한의 오프라인 점포는 가동할 것이란 데엔 이견이 없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방이나 격오지에서 지역별로 거점을 두고 최소한의 오프라인 점포를 운영하겠다는 뜻엔 여러 은행 모두 뜻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온라인 중심으로 가되 일각에서 지적하는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오프라인 매장 절충점을 잘 찾아야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은행연합회는 지난해 6월 은행권 자율규제안인 ‘은행권 점포 폐쇄 공동절차’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이는 은행 점포 폐쇄 시 사전 영향평가를 거쳐 이동점포,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점포제휴 등 대체 수단을 확보하는 내용을 권고하고 있다. 다만 세부기준은 각 은행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어 은행 간 협의나 공동 대응이 의무 사항은 아니다.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을 어느 지역 어느 나이로 구분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 은행 관계자는 “내부에서 판단하기에 은행 앱 사용 등에 익숙하지 않은 연령대가 생각보다 높다는 분석도 있다”며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해서 오프라인 점포 수를 따져보는 사회적 합의도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한 ‘2020년 디지털 정보 격차 실태 조사’에 따르면 만 55세 이상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한국은 전체 정보화 수준의 68.6%로 전년 64.3% 대비 4.3%p 향상됐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따져보면 은행 어플의 접근성을 끌어올리고 직관적인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면서 홍보 활동을 병행하는 방향성도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를 종합한 또 다른 해법으로는 격오지 중심의 ‘공동 점포’ 출범이 거론된다.

예를 들어 격오지에 공동 점포를 차려 안에서 KB국민은행 직원과 신한은행 직원이 각각의 창구 업무를 맡아 금융 소외 계층을 상대로 대면 상담을 이어가는 식이다.

실제로 영국은 2019년 공동점포 형태의 ‘비즈니스 뱅킹 허브’를 출범했다. 일본은 지바은행, 무사시노은행, 다이시은행 등이 영업점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두 은행 직원이 일주일에 이틀씩 번갈아 근무하는 형태의 공동점포도 선보였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벨기에, 일본, 독일 등에서 중형 은행뿐만 아니라 대형 은행을 중심으로 지점 공동 운영이 적극 모색되고 있다”며 “ATM의 공동 운영과 더불어 은행 간 공동 점포 운영은 고객 편의성 증대와 비용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를 인식한 국내 은행 업계도 최근 머리를 맞댄 것으로 확인됐다. 은행연합회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은 점포 축소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여러 안건 중 하나로 ‘은행 공동점포 시범 운영’을 올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공동 점포 얘기가 최근에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해관계를 고려하기보다는 사회적 책임을 먼저 따져볼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새로운 안을 세운 것은 아니다”라며 “은행들과 논의해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