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 토요일

  • 서울 25℃

  • 인천 22℃

  • 백령 18℃

  • 춘천 27℃

  • 강릉 28℃

  • 청주 26℃

  • 수원 24℃

  • 안동 29℃

  • 울릉도 19℃

  • 독도 19℃

  • 대전 27℃

  • 전주 26℃

  • 광주 28℃

  • 목포 22℃

  • 여수 25℃

  • 대구 30℃

  • 울산 26℃

  • 창원 29℃

  • 부산 25℃

  • 제주 21℃

금융 '지배구조 모범' KB금융···부회장 직제 변화줄까

금융 은행 양종희의 뉴KB

'지배구조 모범' KB금융···부회장 직제 변화줄까

등록 2023.11.02 08:43

한재희

  기자

안정적 경영 승계 시스템···직제 유지 가능성 관측 양 신임 회장 힘 싣기 위해 부회장 자리 비워둘수도'부문장 체제' 깜짝 변화 가능성도 유력한 방안 중 하나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이 부회장 직제를 유지할지, 폐지할지 관심이 쏠린다. 그래픽=이찬희 기자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이 부회장 직제를 유지할지, 폐지할지 관심이 쏠린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지난 2021년 부회장직 신설과 함께 첫 부회장으로 선임됐던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부회장직을 유지할지, 다른 형태로 변화를 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KB금융그룹 내 '2인자'로 여겨지는 자리인 만큼 신임 회장의 출발과 함께 변화를 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KB금융 안팎에서는 부회장직을 폐지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도, 직제를 유지하되 변화를 꾀할 것이라는 의견도 비등하게 흘러 나온다.

KB금융그룹이 부회장 제도를 처음 도입한 것은 2008년이다.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부회장직을 함께 만들었는데 당시 강정원 부회장 겸 국민은행장이 이듬해 사퇴하면서 자연스럽게 폐지됐다.

부회장 직제가 부활한 것은 윤종규 회장의 3연임이 결정되면서다. 윤 회장의 3연임으로 안정적인 경영 승계 시스템이 필요해졌고 2021년 부회장직이 되살아났다. 그 자리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사람이 바로 양종희 회장 내정자다.

따라서 신임 회장이 새롭게 짜는 판에 부회장 존재 자체가 부담일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경영 승계보다는 새로운 경영 전략을 짜는 게 우선순위여서다. 사실상 '2인자'가 되는 부회장이 있다면 새로운 회장이 조직을 장악하는 데 힘이 분산될 수밖에 없다. 퇴임을 앞둔 윤종규 회장과 양종희 내정자 간 의견도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지난해 말 부회장 직제 신설 가능성이 높았던 신한금융그룹의 경우 신임 회장이 선임되면서 부회장 직제 신설 논의를 뒤로 미뤄뒀다.

윤종규 회장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부회장이라는 직책 자체가 필요하면 보임할 것이고 필요치 않으면 비워둘 수 있는 것"이라며 "부회장이라는 직책보다 부문장이라는 직무, 가능하면 폭넓게 업무 경험을 사전에 쌓아서 준비된 회장이 되도록 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라고 말했다.

양 내정자 역시 비슷한 맥락의 발언을 한 바 있다. 그는 "향후 회장 후보군을 육성한다는 측면과 규모가 큰 KB금융그룹의 업무를 분장하는 측면 등 두 가지를 고려해 이사회와 협의해서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부회장 직제를 폐지하고 부활하는 것을 반복하기보다는 변화를 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KB금융그룹의 내부 후계자 양성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되 회장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부문장 체제' 방향이 가장 유력하다.

기존에는 3부회장과 1총괄부문장 체제였다면 이를 3부문장이나 4부문장 체제로 재편하는 것이다. KB금융그룹의 규모가 큰 만큼 부문장 체제를 통해 효율적인 경영이 가능하다는 점, 승계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 등이 해당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이유다. 변화가 생긴다면 허인 부회장과 이동철 부회장은 퇴임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장 경험이 없는 양 내정자가 그 능력을 인정받은 것 역시 부문장 직제 덕분이었다. 양 내정자는 비은행 강화를 진두지휘했던 경력과 부회장으로서 그룹 핵심 부문을 총괄하는 등 은행과 비은행 분야에서 두루 경력을 갖췄다고 평가받는다.

금융당국이 이사회내 회장추천위원회의 공정성 등 최고경영자(CEO) 선임 절차에 대한 회의감을 드러내고 있어서 지속적이고 일관된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KB금융그룹의 이번 회장 인선에 대해 "개선할 부분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원장은 "KB금융지주 회장 승계 절차 과정이 KB금융이 지금까지 해왔던 사례나 다른 대상(지주사)과 비교할 때 잘하려고 노력했다고는 할 수 있지만 절대적 기준에서는 괜찮다고 할 수 없다"며 "통상 기준이나 방식을 정해놓고 이에 대한 공론화를 통해 여기에 적합한 후보군을 정해야 하는데 이미 대상을 다 확정한 후 기준과 방식을 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른 금융그룹, 글로벌 사례를 살펴보면 수개월에서 길게는 1년까지 검증하는 기간이 있었다"며 "누구는 적합하고 누구는 그렇지 않다는 걸 우리가 결정하겠다는 게 아니라 금융감독당국으로서 할 일은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