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9℃

  • 춘천 8℃

  • 강릉 17℃

  • 청주 10℃

  • 수원 9℃

  • 안동 8℃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0℃

  • 전주 11℃

  • 광주 11℃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3℃

  • 부산 13℃

  • 제주 13℃

‘원금보장·안정적 수익’ 뉴딜펀드···동학개미 “투자한다vs안 한다”

‘원금보장·안정적 수익’ 뉴딜펀드···동학개미 “투자한다vs안 한다”

등록 2020.09.07 13:54

고병훈

  기자

정부 “연 1.5% 이상 수익률, 사실상 원금보장 펀드”예·적금 금리보다 높아···안전추구형 투자자 관심뉴딜 불확실성·장기투자 매력 떨어진다는 지적도

‘원금보장·안정적 수익’ 뉴딜펀드···동학개미 “투자한다vs안 한다” 기사의 사진

정부가 추진하는 ‘뉴딜펀드’가 동학개미들의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떠오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총 20조원 규모로 조성될 정책형 뉴딜펀드는 연 1.5% 이상의 수익률과 사실상 원금 보장에 준하는 안전성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현재 연 0~1%대인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보다 높은 수익률인 만큼 정부는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뉴딜펀드로 대거 유입될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목표수익률이 금리보다 살짝 높은 정도로 시중 유동자금이 쏠릴 수 있겠냐는 냉담한 반응이 나온다. 특히 최근 시중에 유동성 자금이 급증하며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등 공모주가 활성화되고 있고, 리스크를 감수하면서까지 주식투자에 뛰어드는 개인들이 늘어난 상황에서 안정적이라는 장점만으로 투자자들을 유인하기에는 매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투자자들이 뉴딜펀드 투자에 집중하기보다는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뉴딜 관련주’를 찾는 데 혈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안심하고 넣을 수 있는 투자처”vs“장기투자 매력 없다”

한국판 뉴딜 펀드는 ▲정책형 뉴딜펀드 신설 ▲뉴딜 인프라펀드 육성 ▲민간 뉴딜펀드 활성화 등 세 축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정부가 투자 위험을 우선 부담하는 ‘정책형 뉴딜펀드’는 내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총 20조원 규모로 신설된다.

정부 출자 3조원(연 6000억원), 정책금융기관 4조원(연 8000억원) 출자를 통해 7조원의 모(母)펀드를 조성하고 여기에 민간금융기관, 국민 등 민간자금 13조원을 매칭해 20조원이 조성되는 방식이다.

정책형 뉴딜펀드는 정부가 “사실상 원금보장 효과가 있다”고 홍보하고 나선 만큼 안전추구형 투자자들이 충분히 매력을 느낄 만하다는 평가다.

해당 펀드는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이 평균 35%를 출자해 민간 자금 65%와 매칭하는 구조인데, 정부 재정 약 10%는 후순위로 출자해 위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 투자자로서는 수익률이 -10%까지 떨어지더라도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셈이다.

최근 일부 자산운용사의 불법 행위와 대규모 부실로 시장의 신뢰를 잃은 사모펀드와 달리, 정책형 뉴딜펀드는 정부가 조성하고 정책금융기관이 주관하는 펀드라는 점에서 금융사고나 불법 행위 가능성이 적을 것이란 기대도 가능하다.

반면, 뉴딜펀드가 시중 유동성을 흡수할 만큼 매력 있는지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정부의 말처럼 원금보장에 가까운 상품인건 맞지만 목표로 하는 수익률도 그만큼 낮기 때문이다.

뉴딜 분야 특성상 불확실성이 크고 투자 기간이 길다는 점도 투자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정부는 펀드 투자 대상으로 수소충전소, 수소·전기차 개발 프로젝트, 친환경·신재생 에너지 시설 등을 제시했는데 수익이 나려면 일정한 시간이 필요한 분야로 평가된다.

즉 수익을 얻기 위해선 장기 투자가 불가피한 상황인데, 여유자금이 많지 않은 일반투자자는 목돈을 장기간 묶어두기가 쉽지 않다. 또 정부 주도로 투자되는 프로젝트인 만큼 사업성이 더 낮을 것으로 예측돼 수익률도 당초 예상보다 부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유동성 장세에서 개인투자자들은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높은 수익률을 가진 투자처를 선호한다”며 “안전성이 보장된다고 해도 만약 수익률이 지나치게 낮다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금융위 “뉴딜펀드, 차별화된 강점 있어”


금융위는 ▲디지털·그린은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신산업 분야인 점 ▲관련 예산이 이미 선정돼 사업 구체성이 상당 수준 갖춰진 점 ▲재정이 후순위 위험부담을 지는 점 ▲정책펀드 운용 경험이 축적된 점 등을 뉴딜펀드만의 강점으로 꼽았다.

뉴딜펀드가 과거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녹색펀드’나 ‘통일펀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과거 녹색펀드, 통일펀드는 사업 실체가 상대적으로 부족했지만, 한국판 뉴딜은 차별화된 강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역대 정권이 내세운 펀드의 경우 정권의 부침에 따라 수익률이 왔다갔다하기 일쑤였다. 이명박 정부 당시 금융권은 정부의 ‘녹색성장’ 기조에 발맞춰 환경과 연계된 다양한 녹색 관련 예·적금, 대출, 펀드 상품을 앞다퉈 출시했었지만, 예상보다 실적이 부진해 정권이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자취를 감췄다. 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박론’에 따른 관련 펀드들도 마찬가지였다.

금융위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 질서가 급격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 핵심은 디지털·그린 경제인만큼 이런 글로벌 추세는 정부가 바뀐다고 쉽게 변화하기 어렵다”면서 “이번 정부 임기가 만료돼도 뉴딜 분야의 중요성과 성장성은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딜펀드의 투자 매력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이 관계자는 “뉴딜 분야 성격상 불확실성이 크고 투자 기간이 길어, 민간자금이 선뜻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이에 재정 지원을 통해 정책형 펀드의 위험분담을 낮추고, 세제 지원을 통해 인프라펀드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위험을 분산하면서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이 제공된다면, 충분히 민간자금을 유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위는 “일반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정책형 펀드, 인프라펀드, 민간 뉴딜펀드는 모두 자기책임 하에 투자하는 것이며, 펀드투자 과정에 따라 손실을 볼 개연성도 있다”며 “최근 문제가 된 일부 사모펀드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뉴딜펀드도 투자자들에게 펀드 구조, 투자 유의사항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투자의사를 권유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고병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