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4일 수요일

  • 서울 15℃

  • 인천 16℃

  • 백령 10℃

  • 춘천 15℃

  • 강릉 9℃

  • 청주 19℃

  • 수원 16℃

  • 안동 18℃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13℃

  • 전주 15℃

  • 광주 18℃

  • 목포 15℃

  • 여수 19℃

  • 대구 19℃

  • 울산 18℃

  • 창원 20℃

  • 부산 18℃

  • 제주 17℃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현실화되나··· 부담 커지는 철강업계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현실화되나··· 부담 커지는 철강업계

등록 2017.06.21 07:00

김민수

  기자

‘노후 화력발전소 폐쇄·脫원전’ 친환경 에너지 정책 속도화력·원자력 대신 발전단가 높은 LNG 비중 커질 듯발전비용 상승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도 불가피전기사용량 큰 철강업계 “산업별 경쟁력 감안해야”

문재인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정책의 일환으로 노후 화력발전소 폐쇄 및 탈(脫)원전 계획을 속속 발표하면서 산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전력 사용 비중이 높은 철강업계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이나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의 직격탄을 받을 수 있어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석탄화력발전소 신규 건설을 전면 중단하고 노후한 석탄화력발전소 10기에 대한 폐쇄조치로 임기 내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원전에 대해서도 “고리 1호기 가동 정지는 탈핵 국가로 가는 출발점”이라며 “원전 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 원전 중심의 발전정책을 폐기하는 한편 신재생에너지와 LNG·태양광·해상풍력 등 대체 에너지 산업을 적극 육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대선 후보 시절 공약으로 제시한 ‘임기 내 석탄화력 발전량 30% 감축’과 일맥상통한다. 문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 달 15일 미세먼지 대책으로 30년 이상 운영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6기를 일시중단한 것을 시작으로 이미 건설에 들어간 원전에 대해서도 중단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현실화되나··· 부담 커지는 철강업계 기사의 사진

이에 대해 철강업계는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다. 지난 달 새 정부 출범 이후 친환경 정책 기조에 속도를 냈던 만큼 화력 및 원자력 발전 축소에 따른 전력요금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미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자체적인 노력도 현재진행형이다.

포스코의 경우 이미 설치된 대용량 배열회수설비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한편 중소형 배열회수 미적용 개소의 신기술 적용을 통한 자체감축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제철 역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해 운영하는 등 에너지효율화 및 자가발전을 통한 비용 절감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하지만 기술 발전에 시간이 필요한 반면 전기 사용량이 생산량과 직결되는 현 상황에서는 전기료 상승이 단기간 비용 증가로 연결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철강업계는 다른 업종 대비 전기 사용량이 많은 편이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력소비 상위 15개 업종 가운데 현대제철이 1위, 포스코와 동국제강이 각각 3위, 13위를 차지했다. 특히 현대제철은 전체 조강 생산량의 절반을 전기로에 의존하고 있어 전기요금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원가상승은 물론 가격경쟁력 약화를 피하기 쉽지 않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이용한 전기 생산 비중 확대 역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및 원전 정책 재검토에 따른 전기 생산 감소분을 발전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LNG 비중 확대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연간 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전기료 인상분을 한전의 자체 부담으로 메꾸기로 했지만 추가분에 대해서는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충당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정부가 최근까지 불황에 몸살을 겪었던 현 상황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친환경 에너지 발전에 대한 취지는 공감하지만 일괄적인 요금 인상보다는 산업별 경쟁력에 맞는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불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도 국내 철강업체들은 선제적 구조조정을 통해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잘 헤쳐나왔던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미국의 통상 압박 등 대내외 경영환경이 여전히 좋지 않다는 점을 정부가 감안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